건설안전

기대기옹벽 종류와 안정검토

skyground21 2025. 4. 16. 20:06
728x90
반응형

<근거자료: 기대기옹벽(KCS 11 80 20: 2020, 국토교통부)>
1.1 적용범위
(1) 이 기준은 비탈면 보호공으로 시공되는 기대기옹벽(밑다짐식, 합벽식 및 계단식옹벽) 공사에 적용한다. 


 
합벽식 옹벽: 벽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안정성을 도모하는 형식의 옹벽
계단식 옹벽: 계단이 겹치는 너비가 안정성의 관건이 되며, 비탈면과의 일체화를 위해 고정핀의 시공이 중요하다.
밑다짐식 옹벽(buttress) : 깍기비탈면 하부의 일부가 파괴 또는 풍화진행으로 인하여 공간이 발생하였을 때 상부의 추가파괴 또는 암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콘크리트를 만들어 상부 암괴를 지지하는 벽체이다.
 
4.1.1 검토항목
(1) 기대기 옹벽은 중력식 옹벽으로 간주하며,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다음의 안정해석을 수행한다. 
① 옹벽의 활동파괴
② 옹벽의 전도파괴
③ 기초의 지지력 파괴
④ 기대기 옹벽 자체의 파괴(전단파괴, 모멘트파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