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블로그 글쓰기를 한 후 맞춤법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티스토리 블로그에는 맞춤법 검사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글쓰기 창 맨아래에 보면 맞춤법 검사가 있다. 맞춤법 검사를 클릭하면 오류가 난 부분을 찾아준다. 오류가 난 부분은 수정해 주는 것이 좋다. 글쓴이가 생각하는 것과 컴퓨터가 알려주는 것이 다를 경우 컴퓨터가 제안하는 안으로 수정하는 것이 구글 SEO에 부합한다고 한다. 2021.04.07 - [티스토리] - Chrome 맞춤 설정 및 제어에서 맞춤법 검사 설정하기
우연히 유튜브에서 구글seo에 맞춰서 글을 써야한다는 정보를 알게되었다. 티스토리에 어떻게 써야 하는지 정리해보자. 키워드는 제목, 첫번째문단, 마지막문단에 넣는것이 좋다. 이렇게 해야 구글 로직이 정말 제목의 키워드 내용으로 글을 작성하였는지 판단한다고 한다. 맞춤법 검사를 꼭 해야 한다. 작성자가 맞다고 생각하는 맞춤법과 컴퓨터가 보여주는 맞춤법이 다르다면 컴퓨터가 알려주는 맞춤법을 적용하도록한다. 글을 쓸때 정리가 잘되어 있는것 같아보여야 한다. 주제가 나오고 주요요점이 나오고 보조요점이 나오도록 정리한다. (네이버나 다음블로그에 글쓸때 자주 이용하는 가운데 정렬하지 말것.) 사진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넣는다. 사진이 없어도 충분히 이해 가능한 글에는 사진을 넣지 않는다. 글쓰기의 가장 좋은 예로는..
티스토리 블로그 url 주소 문자로 바꾸고 난뒤 직접유입이 갑자기 많이 늘어 났다. 무슨 이유일까? 정상적인 결과일까? 하루 방문자수가 얼마되지 않은데 지난 3월 20일 티스토리 블로그 url주소를 숫자에서 문자로 바꾸고 난뒤 갑자기 직접유입이 많아 졌다. 왜 이럴까? 직접유입이 어떤 것인지 인터넷에 검색을 해보니 ▲ 직접유입 : 출처가 없는 경우의 유입을 의미합니다. 출처(레퍼러)를 거치지 않고 블로그나 포스트의 주소(URL)을 주소창에 직접 쳐서 들어오거나 즐겨찾기를 통한 유입이 바로 이 직접유입에 포함이 됩니다. 예를 들어, 타인이 본인블로그 주소를 주소창에 직접 치거나, 즐겨찾기 해두었다가 해당 즐겨찾기를 통하여 유입을 하는 경우도 직접유입에 포함이 됩니다. 제 블로그의 경우 직접 주소창에 입력해..
구글 CEO에 따르면 url주소에서 포스팅 내용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좋다고한다. 티스토리 블로그 포스팅을 하면 url 주소가 숫자 또는 문자로 설정을 할 수 있다. 이 방법에 대해 알아 보자. 1.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에 접속한다. 2. 하단에 블로그 클릭 3. 주소설정 포스트 주소를 숫자/문자로 설정합니다. 에서 문자를 선택한다. 변경사항을 저장한다. 4. 글쓰기 한후 완료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그림이 나온다. 4-1. 위 그림에서 URL이 문자로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글자색이 회색이라 수정 못하는 것으로 생각했었는데 URL주소를 클릭하면 수정이 가능하다. 원하는 문자로 수정하여 발행하면 된다.
1. 구글 애드센스 > 지급 > 미국 세금 정보 > 세금 정보 관리 2. 세금정보 추가 클릭 3. 계정 로그인 4. 미국 세금 정보 4-1. 개인 또는 단체/법인 선택 개인 계정은 법적 조직이 아닌 한 개인이 소유 및 운영합니다. 세금은 개인 소득 신고서의 소유자 이름으로 부과됩니다. 단체 또는 법인 계정은 과세 목적상 그 소유자와는 별개인 비즈니스 계정입니다. 4-2. 미국 시민 또는 거주자인가요? 4-3 W-8 세금 양식 유형을 선택하세요. 5. W-8BEN 세금 양식 5-1.외국인 TIN의 경우 다른 외국인 개인 식별 번호(예: 대한민국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하지 마세요. 사업자등록번호로 가능하다고 합니다. 5-2.영구 거주지 주소가 우체국 사서함 또는 전교(c/o) 주소입니다. 추가 문서를 제출해야..
미국 세금 정보 제출 중 납세자 식별 번호(TIN)가 무엇인가요? 납세자 식별 번호(TIN)는 IRS(미국 세무 당국)에서 모든 미국 세금 양식에 요구하는 세금 처리 번호입니다. 미국 외 국가의 시민은 개별 TIN(ITIN)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조세 조약 혜택을 신청하는 경우 외국인용 TIN 또는 미국인용 TIN을 제출해야 합니다. IRS의 TIN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IRS 웹사이트의 페이지는 Google이 유지관리하거나 검토하지 않으며, Google은 이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정보의 정확성을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는 경우 세무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허용되는 세금 식별 번호를 확인하려면 현지 세무 당국에 문의하거나 세무 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Googl..
zum 검색등록을 하여 블로그 유입을 올려보자. 검색포털 zum은 알약이나, 알집 등을 내용을 잘 안 읽고 다음, 다음 클릭해소 설치하면서 자동적으로 인터넷에서 시작페이지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네이버나 다음만큼은 아니더라도 유입자가 있으니 검색등록을 꼭 하시기를 권합니다. 1. 먼저 zum검색등록 사이트에 접속한다. 네이버에서 'zum 검색등록' 검색 2. zum 검색등록은 로그인이 필요 없다. 3. 다음 화면과 같이 신규 등록 클릭 4. 사이트 등록 안내에서 * 있는곳은 필수 정보이다. 4-1. 연락 받을 이메일을 입력한다. 이 이메일을 통해서 zum 검색포털에 검색등록 확인 메일일 온다. 5. 내 티스토리 블로그주소를 입력한다. 사이트 주소 : https://블로그.tistory.com http가..
아래 동영상을 참고하여 정리해봤습니다. www.youtube.com/watch?v=FIoMjcZmGXw 1. 맞춤정의 1-1. 맞춤 측정기준 2. 새 맞춤 측정기준 2.1 맞춤 측정기준 추가 이름 : IP addr 범위 : 세션 2.2 완료하면 다음과 같은 그림이 나온다. 맞춤 측정기준이름 IP addr 지수 : 1 (잘 기억해 놓을 것) 3. 추적정보 3.1 추적 코드 복사 3.2 티스토리블로그 스킨편집 > html편집 이 속성의 범용 사이트 태그(gtag.js) 추적 코드입니다. 이 코드를 복사하여 추적할 모든 웹페이지의 에 첫 번째 항목으로 붙여넣으세요. 바로 및에 붙여 넣는다. 4. Google 태그 관리자 4.1 계정만들기 만든 것이 없으니 우측 상단에 아무것도 없다. 4.2 계정이름 : 본인 ..